해안개발사업에 따른 해안침식 영향 저감방안 연구
페이지 정보
조회 63회 작성일23-02-21 14:28첨부파일
- 해안침식_영향_저감방안_연구.pdf (6.0M)
본문
본 연구에서는 해안침식을 유발할 수 있는 개발사업에 대하여 합리적인 영향평가와 저감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해안침식을 유발할 수 있는 개발사업의 유형을 조사하고, 이들 사업유형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및 저감방안에 조사하였다.
본 연구는 해수의 유동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변화하며, 현재 해안침식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모래및 자갈해안에 대하여 주안점을 두었다.
본 연구에서는 해안침식 관련사업의 환경영향평가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침식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, 침식 요소별 현황조사, 영향예측, 저감방안 및 사후모니터링 방안을 조사․분석 제시하였다.
특히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중 해안침식과 가장 관련이 많은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현황조사, 수리 및 수치모형실험 방법, 사후모니터링 방안을 제공하였다.
환경영향평가 시 해안침식과 관련된 환경목표 설정은 기본적으로 개발사업으로 인한 해안침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립하여야 한다.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한 방안에는 그 속성에 따라 일차적인 저감방안과 이차적인 저감방안으로 분류할 수 있다.
일차적 저감 방안은 사업계획의 구성 즉 규모, 배치, 공법 등의 조정 및 선정을 통하여 해안침식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이며, 이차적 저감방안은 해안침식을 보수, 복원, 유지할 수 있는 계획을 의미한다.
해안침식과 관련하여 사후모니터링은 현재 해안침식에 과학적인 예측 능력의 신뢰도를 고려하면 환경영향평가의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고려되어야 한다. 사후모니터링을 통하여 환경영향평가 시 예측된 예측결과 확인, 피해 우려지역의 관리, 저감대책의 저감 효과 확인,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.
댓글목록